2022년 서울시 청년 대중교통비 지원사업 2차 신청 (연 10만원)

    이 게시물은 저작권 보호를 받고 있습니다.

    서울시는 사회초년생 청년들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고 이동권 보장을 강화화기 위해 '2022년 서울시 청년 대중교통비 지원사업'을 시행합니다. 지난 4・5월 1차 신청에 이어 7・8월에 걸쳐 2차 신청을 진행하는데요. 자세한 지원대상과 신청방법을 공유해드리겠습니다.

     

     

    지원대상

     

    2022년 서울시 청년 대중교통비 지원사업 2차 신청대상은 신청일 기준 서울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하고 있는 만 19세 ~ 24세 청년으로, 지난 4월~5월 진행한 1차 신청을 놓친 청년들입니다.

     

    • 생년월일 : 1997년 1월 1일 ~ 2003년 12월 31일생

     

    서울시는 청년들이 별도의 교통카드 발급 없이 기존 사용하던 교통카드로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6개 카드사와 업무협약을 체결하였습니다.

     

    📍 지원 제외대상
    '22년 다음 사업에 참여하여 지원금을 수령한 사람 ➞ 고용노동부 국민취업지원제도, 산업단지 중소기업 청년교통비 지원사업, 서울 청년수당 참여자

     

     

    지원내용

    지원요건을 만족하는 청년들이 4월 22일(금)부터 11월까지 이용한 대중교통비의 20%를 교통마일리지로 환급하여 지급합니다. 1인당 교통마일리지는 연 최대 10만원이며, 각 카드사 포인트로 12월 중 개별적으로 지급될 예정입니다.

     

    • 교통마일리지 산출시점 : 4월 22일(금) ~ 11월까지
    • 교통마일리지 산출범위 :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 범위 내에서 사용한 카드내역 (반드시 실물카드를 이용해야 함)

     

    등록 가능 교통카드

    • 선불카드 : 삼성페이(티머니), 모바일 티머니, 티머니 플레이트카드
    • 후불카드 : 비씨, 삼성, 신한, 우리, 하나, 국민카드 발행 실물카드

     

    등록 불가능한 교통카드

    • 아이폰 사용자의 티머니페이 카드번호
    • 티머니 이외의 모바일 교통카드 (캐시비, 카드번호 1040으로 시작, 카카오 모바일 교통카드, 레일플러스 선불카드)
    • 롯데카드, 현대카드, NH농협카드, 카카오, 토스
    • 비씨카드 (카카오페이, SC제일은행, NH농협카드, 새마을금고, 우체국, 수협, 신협, 대구은행, 부산은행, 경남은행, 광주은행, 제주은행, 전북은행 등

     

     

    신청방법

    2022년 서울시 청년 대중교통비 지원사업 2차 신청기간은 2022년 7월 11일(월) 오전 9시 ~ 8월 31일(수) 오후 6시까지 약 2달간입니다. 지원을 희망하는 청년들은 '청년몽땅정보통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하시면 됩니다.

     

    신청 유의사항

    • 실물 플라스틱 신용(체크)카드가 아닌 모바일 교통카드 이용 시 마일리지 적립 불가
    • 삼성페이 등 모바일 교통카드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경우 반드시 티머니 교통카드로 신청 (삼성페이 신한카드 적립 불가)
    • 본인 명의 교통카드만 마일리지 적립 가능
    • 우리카드 사용자는 '비씨카드 - 우리'로 신청
    • 이미 사업에 신청한 사람은 티머니카드 재신청은 불가하며 후불교통카드로만 변경 가능

     

    문의처

    2022년 서울시 청년 대중교통비 지원사업 신청 관련 궁금하신 점이 있으신 분들께서는 사업 전담 콜센터 ☎︎1644-9241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신을 위한 콘텐츠 ]

     

    서울시 임산부 교통비 70만원 지원 온라인 신청

     

    서울시 임산부 교통비 70만원 지원 온라인 신청

    서울시에서 출산가정의 경제적 부담과 임산부 이동편의를 지원하기 위해 7월 1일부터 '서울시 임산부 교통비 지원사업'을 시행합니다. 서울시에 거주하는 모든 임산부에게 1인당 70만원의 교통

    psom.tistory.com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 [발급 안내]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 [발급 안내]

    실물 주민등록증과 동일한 법적 효력을 가진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서비스가 시행됩니다. 행정안전부가 '정부 24' 앱을 통해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를 시범 운영한다고 발표했는데요

    psom.tistory.com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